삼미(재미, 흥미, 의미)를 바탕으로 소설을 소설답게!
왜 소설을 읽어야 하는지, 어떻게 읽혀야 하는지?
질문과 상상이 피어나는 여섯 가지 소설 수업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이 책은 상상하고 질문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키우는 여섯 가지 소설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청소년 시기에 소설을 제대로 읽는 경험은 ‘깨달음’과 ‘성장’의 바탕이 된다.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나 아닌 다른 사람의 삶을 경험하고, 그러면서 개인 차원의 ‘사람’에서 사회적 존재인 ‘인간’으로 자리매김할 뿐 아니라, 우리는 소설을 읽으며 세상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모든 것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소설을 제대로 읽히는 것이 만만치 않다. 대체로 소설 교육이 작품을 감상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아니라, 잘 정리된 내용을 외우고 선다형 문제의 정답을 찾는 데 매달리기 때문이다. 이런 소설 읽기는 소설을 ‘타자화’하고 학생들을 소설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은 깨달음을 얻고 성장할 기회도, 타인의 삶에 공감하고 세상에 대한 안목을 넓힐 기회도 갖기 어렵다.
이 책은 의미 있는 소설 수업을 고민하고 실천해 온 국어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왜 소설을 읽혀야 하는지? 어떻게 읽혀야 하는지?’에 대한 길을 제시하는 수업 안내서이다. 학생들을 소설 안으로 이끌기 위해 놀이와 접목한 ‘보드게임 만들기’ 수업, 내재적 관점에 초점을 둔 ‘날개 질문으로 소설 읽기’, ‘한 학급 한 권 읽기’, ‘낭독극 만들기’ 수업, 작가를 깊이 있게 다루는 ‘한 학기 한 작가 읽기’ 수업, 반영론을 바탕으로 한 ‘역사적 맥락으로 소설 깊게 읽기’ 수업. 이 수업들을 학생들과 나눈다면, 학생들은 소설 읽기에 몰입하는 경험뿐 아니라 읽는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다채로운 상상과 서로의 생각을 나누면서 한 뼘 더 성장하게 될 것이다.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는 수업, 학생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수업, 서로 소통하며 즐거움이 가득한 수업, 누구나 열정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이 책은 그런 수업을 꿈꾸는 국어 교사들에게 소중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