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2005년 출간되어 뜨거운 반응을 얻은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의 문제의식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각국 역사 입문서인 ‘처음 읽는 세계사 시리즈’ 첫 권이다. 유럽 주연, 중국 조연의 역사를 넘어 ‘한국인의 눈으로 본 세계사’라는 시각은 큰 공감과 찬사를 받았고, 이 책은 그러한 공감을 바탕으로 각 국가의 역사를 자세히 소개하면서도 세계사의 큰 흐름을 아우르고 있어 세계사와 각국사의 균형 잡힌 읽기를 추구한다. 역사교사들의 오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졌던 외국사를 본격적인 역사서로서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쉽고 눈에 그려지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첫 책으로 터키의 역사를 삼은 것은, 터키의 역사는 압축된 세계사라 할 만하기 때문이다. 세계사 수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잔티움과 오스만의 역사를 이 한 권에서 제대로 읽을 수 있으며, 낱낱이 아니라 하나의 역사적 흐름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양과 서양의 역사와 종교, 문화와 혈통이 교차하고 어우러져 있는 터키를 통해 세계사 이해의 주요한 줄기를 확인하게 된다.
터키는 1,100여 년 간 기독교 문화를 지켜온 비잔티움 제국의 중심(콘스탄티노플)으로서, 이후 500여 년 간 이슬람 문명을 대표하는 오스만 제국의 중심(이스탄불)로서의 역사를 모두 품고 있다. 동양과 서양을 상징하는 두 개의 큰 문명의 역사가 올곧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터키인들의 조상은 몽골 초원에서 살던 튀르크 족이며, 이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서쪽으로 이동해서 세운 셀주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그들의 공식 역사이다. 하지만 터키 땅은 튀르크 족이 이동해 오기 훨씬 전부터 수천 년 동안 유럽인들이 그리스,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을 세우고 살았고, 그래서 세계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옛 유적과 유물들이 본 모습 그대로 가장 잘 남아 있기도 하다.
지리적으로도 터키의 영토는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있고, 가는 곳마다 모스크가 있고 하루에도 몇 차례 아잔이 울려 퍼지는 이슬람 국가이지만, 동시에 기독교 초대 일곱 교회가 있는 나라이다.
이처럼 유럽과 아시아, 기독교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공존하는 터키는 성소피아성당의 이슬람식 아라베스크 무늬와 회칠을 벗겨난 황금빛 기독교 성화의 조화만큼이나 경이로우면서도 지혜로운 나라이다. 터키 곳곳에 숨은 이질적인 문화의 공존은 분쟁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공존의 지혜를 들려준다.


프롤로그-문명의 교차로 터키에서 공존의 지혜를 배우다
터키 전도
1장. 터키 땅에서 꽃핀 유럽 문화
1. 터키 땅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 트로이 문명
2. 철의 제국 히타이트가 번성하다
3. 그리스-로마 문화가 발달하다
4. 초기 기독교 교회가 자리잡다
5. 콘스탄티노플, 비잔티움 제국의 중심이 되다
★ 비잔티움 문화의 꽃, 성소피아성당
2장. 터키의 조상, 튀르크
1. 터키인의 조상을 만나다
☆ 흉노족과 훈족
프롤로그-문명의 교차로 터키에서 공존의 지혜를 배우다
터키 전도
1장. 터키 땅에서 꽃핀 유럽 문화
1. 터키 땅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 트로이 문명
2. 철의 제국 히타이트가 번성하다
3. 그리스-로마 문화가 발달하다
4. 초기 기독교 교회가 자리잡다
5. 콘스탄티노플, 비잔티움 제국의 중심이 되다
★ 비잔티움 문화의 꽃, 성소피아성당
2장. 터키의 조상, 튀르크
1. 터키인의 조상을 만나다
☆ 흉노족과 훈족 그리고 튀르크족
2. 튀르크족, 국가를 세우다
3. 서튀르크, 중앙아시아로 진출하다
4. 튀르크, 당과 대결하다
★ 현대 터키에서 유목 민족의 흔적을 찾다
3장. 터키 땅에 나라를 세운 셀주크 튀르크
1. 셀주크 튀르크, 아나톨리아에 진출하다
2. 튀르크족, 이슬람교를 믿다
3. 셀주크 튀르크와 유럽, 십자군 전쟁으로 충돌하다
4. 룸 셀주크, 아나톨리아에 세워진 첫 번째 튀르크 국가
☆ 콘야
★ 이슬람교를 믿는 무함마드 케말의 하루
4장. 비잔티움 제국을 무너뜨린 오스만 제국
1. 오스만 공국이 건국되다
2. 메흐메트 2세, 비잔티움 제국을 무너뜨리다
3. 콘스탄티노플을 이스탄불로 바꾸다
☆ 토프카프 궁전
4. 다양한 종족과 민족이 공존하다
☆ 오스만 제국과 맞서 싸운 루마니아의 드라큘라
★ 실크로드의 종착지, ‘그랜드 바자르’에는 없는 물건이 없다ㄴ
5장. 유럽을 떨게 한 오스만 제국
1. 술레이만 1세, 제국을 완성하다
2. 제국을 다스리는 법을 만들다
3. 제국의 황금 시대가 열리다
☆ 록셀란과 하렘의 정치 개입
4. 변화가 시작되다
★ 동서양의 대립, 이슬람 세밀화와 베네치아 화풍
6장. 개혁의 기로에 선 오스만 제국
1. 튤립시대, 제국의 정체를 막아라
2. 유럽의 침략을 받다
3. 술탄 주도로 탄지마트를 추진하다
☆ 돌마바흐체 궁전
4. 제1차 입헌혁명이 좌절되다
★ 오리엔트 특급 열차가 오스만 제국을 달리다
7장. 오스만 제국에서 터키 공화국으로
1. 제2차 입헌 혁명에 성공하다
2. 연합진보위원회, 개혁을 주도하다
3.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하다
☆ 반성해야 할 터키 역사,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4. 터키 공화국을 수립하다
☆ 터키의 수도 앙카라
★ 터키공화국의 영웅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8장. 현대의 터키
1. 새로운 터키가 탄생하다
2. 냉전 시대, 서방 진영에 가담하다
3. 평화적 정권 교체로 민주주의가 발전하다
4. 터키가 풀어야 할 숙제
☆ 키프로스 통합과 쿠르드족의 독립운동
★ 터키인이 사랑하는 요리와 축구
★ 역사 속의 터키와 우리나라
에필로그 - 동서 문명의 박물관, 이스탄불을 걷다
연표
오스만 제국 술탄 계승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