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없고 외울 것만 많은 역사 교과서, 개설서를 요약한 듯 죽은 지식을 나열한 교과서를 넘어서는 새로운 대안 교과서 제작에 현직 교사들이 발 벗고 나섰다. 강의와 암기로만 이뤄지는 역사 수업을 넘어서, 생동감 있는 이야기와 감동이 살아 있는 역사 수업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그렇다고 기존 검인정 교과서와 대립하거나 충돌하고 있지는 않으며, 그 성과를 담아내면서도 지금까지의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는 물론 우리 사회가 이루어낸 역사적 성숙도를 담아내고 있다.
특히,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최신의 연구 성과를 반영함은 물론, 초판 출간 이후 변화한 우리 사회의 현실을 적극 반영하여 근현대사 부분을 완전히 새롭게 고쳐 썼다. 이로써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룬 대한민국의 성과를 역사적 안목에서 성찰하면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미래를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이 더욱 선명해졌다.
뿐만 아니라, 개정증보판에서는 편집디자인도 시대에 맞게 전면 바꾸었다. 생동감 있는 역사 이야기를 뒷받침해 줄 1,000여 컷의 사진, 지도, 도표, 일러스트 등을 활용해 역사를 체험하는 맛을 느끼도록 돕고 있다. 탄탄한 텍스트와 생생한 이미지로 ‘역사를 읽는 힘’과 ‘역사를 체험하는 맛’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다.
특히, <문화재를 찾아서>, <역사의 현장>, <여성과 역사>, <청소년의 삶과 꿈>등의 특별 꼭지를 마련하여 학생들이 우리 역사를 좀더 친숙하게 마주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배려한 데에서 선생님들의 각별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재미있는 역사책을 기다려온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신명나는 역사 공부를 위한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1권은 선사 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를 전체 11개 단원, 42개 주제에 담아, 한민족이란 민족 집단이 형성되는 과정과 민족 문화의 주요 요소들이 자리 잡는 과정을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2권은 근현대사를 전체 11개 단원, 42개 주제에 담아, 밀려오는 외세에 맞서 자주적 근대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하여 분단의 아픔을 극복하고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룬 대한민국의 성과를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1권 민족의 형성과 민족 문화
프롤로그. 역사는 왜 배우나요
1. 역사와 ‘나’
2. 역사 만들기
1 우리 역사의 새벽
1. 동굴에서 들녘으로
*허스토리를 찾아서
2. 고인돌을 만드는 세상
*고창 고인돌 이야기
3. 우리 겨레 첫 나라
4. 고조선의 뒤를 이어
*흥수아이, 다섯 살짜리 청소년
2 중앙 집권 국가가 나타나다
1. 삼국의 성립, 그리고 가야
? 1권 민족의 형성과 민족 문화
프롤로그. 역사는 왜 배우나요
1. 역사와 ‘나’
2. 역사 만들기
1 우리 역사의 새벽
1. 동굴에서 들녘으로
*허스토리를 찾아서
2. 고인돌을 만드는 세상
*고창 고인돌 이야기
3. 우리 겨레 첫 나라
4. 고조선의 뒤를 이어
*흥수아이, 다섯 살짜리 청소년
2 중앙 집권 국가가 나타나다
1. 삼국의 성립, 그리고 가야
2. 중앙 집권 국가의 등장
3. 해상 왕국 백제
4. 동북아시아의 최강국 고구려
*벽화 속으로 뿅! 노비 아광이의 어떤 하루
5. 신라의 도약, 이어지는 전쟁
*우리는 백제를 만나러 일본으로 간다
6. 고구려, 수?당을 물리치다
*설씨녀와 가실
*친구야, 우리의 맹세를 지키자!
3 삼국에서 남북국으로
1. 남북국 시대가 열리다
2. 발해,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다
3. 불국사와 석굴암
*석굴암, 민족 문화의 원형
4. 장보고와 신라의 명암
5. 신라와 발해, 무너지다
*효녀 지은
*당나라의 신라 소년, 최치원
4 다시 하나 된 겨레
1. 후삼국을 넘어 하나로
2. 나라의 기틀을 다듬고
3. 고려,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다
*흙과 불의 마술, 고려청자
4. 문벌 귀족과 민중
*누나, 도와줘
*탑돌이와 밸런타인데이
5 귀족 사회를 넘어서
1. 무신이 권력을 잡다
2. 이 땅에서 천민을 없애자
3. 몽골과 맞선 고려 사람들
*누가 나무에 숨결을 담을 수 있겠는가
4. 권문세족이 활개 치다
*끌려가는 여인들
5. 개혁의 고빗길에서
*이규보의 시험 준비
6 유교적 이상 국가를 꿈꾸며
1. 새 나라 조선이 서다
2. 유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아직도 장가를 들다니
3. 훈민정음을 만들다
*우리의 하늘은 우리가 본다
*조선판 성인식, 관례와 계례
7 대의와 명분이 중시된 사회
1. 도적이 의적이 되는 세상
2. 사림이 정치의 중심에 서다
3.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전하, 이 글은 볼 수 없사옵니다”
4. 북벌이냐, 북학이냐
*네 아버지 곁으로 가련다
*종아리를 때리고 나서
8 나라 다시 세우기
1. 대동법을 확대하라
2. 토지를 농민에게
3.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대상인 김만덕
4. 화성을 쌓아라
*아름다운 화성
* 겸재 정선, 예술의 길을 간다
9 일어서는 농민들
1.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민중
* 풍속화로 본 농촌 여성들의 삶
2. 평안도에서 일어난 홍경래
*솟아오르는 민중의 힘, 장승
3. 전국적으로 일어서는 민중
*알콩달콩 옛 그림 속으로
*비석치기, 송덕비가 별거냐
에필로그. 민족의 형성과 민족 문화
1. 우리 민족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2. 우리 민족은 어떻게 살아왔나
부록
한국사?세계사 연표
찾아보기